자오허 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오허 고성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 분지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이다. 기원전 2세기 이전에 차사인이 거주하기 시작하여 차사전국의 수도였으며, 한나라, 당나라, 위구르 제국 시대를 거쳐 14세기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될 때까지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강으로 둘러싸인 섬 위에 건설되어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1961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보존되어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고성 중앙에는 대로가 관통하며, 동서 구역으로 나뉘어 관부, 사찰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폐허 - 회령부
회령부는 금나라 건국 초 수도로서 현재 중국 하얼빈시 아청구에 위치하며, 상경회령부로 개칭되어 38년간 금나라의 중심지였으나 수도 이전 후 폐지되었다가 재설치되어 현재 금나라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중국의 폐허 - 은허
은허는 중국 허난성 안양시에 있는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 유적으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발굴이 시작되어 궁궐, 왕릉 등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부호묘는 상나라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갑골문은 한자의 기원이 되었다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투루판시의 건축물 - 베제클리크 천불동
베제클리크 천불동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 인근 무르툭 계곡 절벽에 있는 석굴 사원으로, 8세기 위구르족이 불교를 수용하며 조성되었으나 이슬람 개종 후 훼손되었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서구 탐험가들에 의해 벽화가 해외로 반출되어 현재는 디지털 복원되어 전시되는 위구르족의 중요한 유적이다. - 투루판시의 건축물 - 소공탑
소공탑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중국 내 가장 높은 미나레로, 청나라 건륭제 시기에 에민호자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으며 이슬람 및 위구르 건축 양식이 융합되어 고대 실크로드 거점 인근에 위치한 역사적, 지리적으로 중요한 탑이다. - 중국의 유적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유적 - 저우커우뎬
저우커우뎬은 베이징 교외의 고고학 유적으로, 베이징 원인 화석과 석기, 불 사용 증거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유물을 제공하여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자오허 고성 | |
---|---|
개요 | |
![]() |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시 가오창구 |
유형 | 도시 |
명칭 | |
한국어 | 자오허 고성 |
위구르어 | (Yarghol Qedimki Shehiri) |
중국어 | 交河故城 (Jiāohé gùchéng) |
지리 | |
상세 정보 | |
길이 | 알 수 없음 |
너비 | 알 수 없음 |
면적 | 알 수 없음 |
높이 | 알 수 없음 |
건축가 | 알 수 없음 |
재료 | 알 수 없음 |
건설 시기 | 알 수 없음 |
폐허 시기 | 알 수 없음 |
시대 | 알 수 없음 |
문화 | 알 수 없음 |
점유민 | 알 수 없음 |
발굴 | 알 수 없음 |
고고학자 | 알 수 없음 |
상태 | 폐허 |
소유주 | 알 수 없음 |
관리 | 알 수 없음 |
대중 접근 | 알 수 없음 |
참고 사항 | 알 수 없음 |
2. 명칭
《후한서》에서는 '자오허'에 대해 언급하면서, "강 합류점"이라는 통상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근초시 왕은 자오허 성에 산다. 강이 둘로 갈라져 성을 에워싸고 있어 자오허라고 부른다.[2]
라이오넬 자일스는 이 도시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중국어 이름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를 병음으로 대체)
:자오허, 투르판의 고대 수도 [한].
:거시 전왕정(전/근초시의 왕실) [후한]
:고창군 [진]
:서주 [당]
:야르호토 [현대 이름].[3]
오렐 스타인은 야르호토라는 이름이 튀르크어와 몽골어 단어의 조합으로, '야르'(튀르키예어: 계곡)와 '호토'(몽골어: 도시)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했다.[4]
3. 역사
자오허 고성은 기원전 2세기부터 차사(車師)인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기원전 108년~450년 사이에는 차사전국의 수도였다. 한나라 시대에는 무기교위가 설치되었고, 450년~640년에는 고창에 속했다. 640년부터 9세기 초까지는 당나라의 교하현이었으며, 안서도호부가 설치되기도 했다(640년~658년). 9세기 중엽에는 천산 위구르 왕국의 관할 하에 들어갔으나, 14세기에 전란으로 파괴되었다.
고고학자이자 탐험가인 아우렐 스타인은 자오허 고성을 방문하여 "황토 토양에서 대부분 조각된 폐허가 된 주택과 사당의 미로"라고 묘사했지만, 현지 농부들이 토양을 사용하고 정부가 그의 활동에 간섭하여 조사를 방해했다고 불평했다.[5] 이 유적은 1950년대에 부분적으로 발굴되었으며, 1961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1]
3. 1. 고대 (기원전 2세기 ~ 9세기)
기원전 108년부터 서기 450년까지 교하는 차사전국의 수도였다. 차사전국은 한나라, 진나라, 남송, 북송과 같은 시대에 존재했던 고대 중국 국가였다. 자오허 고성은 서역 실크로드 무역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주변의 쿠얼러와 카라샤르와 인접했다.[5]
450년부터 640년까지 교하성은 당나라 교현(交현)으로 편입되었고, 640년에는 교하현이 설치되었다. 640년에서 658년에는 안서도호부가 설치되어 서역을 다스리는 주요 거점이 되었다.[5]
9세기 초반 이후로는 위구르 제국의 교하현이 되었고, 840년 키르기즈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5]
교하성은 강 중간의 큰 섬(길이 1650m, 폭 300m) 위에 건설되어 자연 방벽 역할을 했다. 도시 사방이 강으로 둘러싸인 가파른 절벽이었기 때문에 성벽은 필요하지 않았다. 도시 구조는 동쪽과 서쪽 거주지로 나뉘었고, 북쪽 지구에는 불교 사원과 탑이 있었다. 동쪽 지구 남쪽에는 묘지와 큰 관청 유적이 발견된다.[5]
3. 2. 당나라와 위구르 시대 (7세기 ~ 14세기)
기원전 108년부터 서기 450년까지 자오허 고성은 차사전국의 수도였다. 차사전국은 한나라, 진나라, 남송, 북송과 함께 존재하였던 고대 중국의 국가였다. 서역 실크로드 무역로에서 중요한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주변의 구자국과 카라샤르와 인접하였다. 450년~640년까지 교하성은 당나라 교현(交현)으로 편입되었고, 640년에는 교하현이 만들어졌다. 640년에서 658년에는 안서도호부가 설치되었고, 서역을 다스리는 주요 본거지가 되었다.[5]
9세기 초반 이후로는 위구르 제국의 교하현이 되었고, 840년 키르기즈에 의해 멸망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교하성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강의 중간에 거대한 섬(길이 1650m, 폭이 300m) 위에 지어졌고, 이런 이유로 방벽이 필요하지 않았다. 대신 사방으로 강으로 둘러싸인 가파른 절벽이 있어, 자연 방벽의 역할을 하였다. 도시의 구조는 동쪽과 서쪽 거주지가 있었으며, 북쪽 지구는 불교 사찰과 탑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것에 따라 동쪽 지구의 남쪽에는 주목할 만한 묘지와 함께 거대한 관청 유적이 발견되고 있다.[5]
교하고성은 13세기 징기스칸에 의한 몽골의 침입 이후 마침내 버려지게 되었다.[5]
3. 3. 쇠퇴와 보존
징기스칸이 이끄는 몽골의 침략으로 13세기에 파괴된 후 자오허 고성은 버려졌다.[5] 1961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1] 중국 정부는 다른 실크로드의 유적지와 함께 이곳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1992년부터 나라 국립 문화재 연구소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문화재 관리국이 공동으로 유적 보존 사업을 진행해 왔다. 2014년, 자오허 고성은 수년간의 준비 끝에 실크로드 유네스코 세계 유산의 일부가 되었다.[6][7]
4. 도시 구조
자오허 고성은 강 한가운데 있는 큰 섬(길이 1650m, 가장 넓은 곳의 너비 300m)에 건설되어 자연 방어선을 형성했다. 이 때문에 도시에는 성벽이 없으며, 대신 강 양쪽의 30m가 넘는 가파른 절벽이 자연 성벽 역할을 했다. 도시는 동부 및 서부 주거 지구와 북부의 불교 사찰 및 탑 부지로 구성되었다. 동부 지구 남쪽에는 묘지와 대규모 정부 청사 유적이 있다.[5] 당나라 기록에 따르면 인구는 7,000명이었다.[5]
4. 1. 구역 분할
고성은 중앙 대로를 기준으로 동서 두 구역으로 나뉜다. 동쪽 구역 중심부에는 담으로 둘러싸인 관청 구역이 있고, 서쪽 구역과 북쪽 성역은 불교 사찰과 탑 유적이 있는 사찰 구역이다. 현재 50여 개의 유적이 확인되는데, 가장 작은 것은 1제곱미터이고 가장 큰 사찰은 남북 88미터, 폭 59미터, 면적 5200m2에 달하는 남북조 시대 사찰이다.[5] 북쪽 구역에는 101기의 탑이 정연하게 남아 있으며, 작은 방탑 25기씩 4조를 이루고 중간에 큰 방탑이 1기 있다.남쪽 성문에서 옹성을 거쳐 폭 10미터, 총 길이 350미터의 남북 대로가 이어진다. 이 도로가 자오허 고성의 간선 도로이다. 동쪽에는 절벽 아래로 통하는 성문이 있고, 대로 북쪽은 가장 큰 사찰과 연결된다.

4. 2. 주요 시설
고성 중심에는 중앙 대로가 있어 성 안을 동서 두 구역으로 나눈다. 동쪽 구역 중부는 담으로 둘러싸인 관청 구역이고, 서쪽 구역과 성 북쪽은 사찰 구역으로 현재 50여 개의 유적이 확인된다. 가장 작은 것은 1m2이고, 가장 큰 사찰은 남북 88m, 폭 59m로 면적이 5200m2에 달하는 남북조 시대 사찰 구역이다. 북쪽 구역에는 101기의 탑이 정연하게 남아 있는데, 작은 방탑 25기씩 4조를 이루고, 중간에 큰 방탑이 1기 있다.남쪽 성문에서 고성으로 들어가 옹성을 거치면 폭 10m, 총 길이 350m의 남북 대로가 나온다. 이것이 교하고성의 간선 도로이다. 동쪽에는 절벽 아래로 통하는 성문이 있으며, 대로 북쪽은 가장 큰 사찰과 연결된다.

5. 건축 방법
고성은 흙벽돌이나 판축으로 담을 쌓았으며, 아치, 혹은 작은 보로 된 지붕을 가진 지하 또는 반 지하 구조로 되어 있어, 현지의 고온 기후에 대한 배려가 돋보인다.[1]
6.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Silk Road: Xi'an to Kashgar
Air Photo International
[2]
서적
Through the Jade Gate to Rome: A Study of the Silk Routes during the Later Han Dynasty, 1st to 2nd Centuries CE
BookSurge
[3]
간행물
A Chinese Geographical Text of the Ninth Century
[4]
문서
Innermost Asia: Detailed Report of Explorations in Central Asia, Kan-su and Eastern Iran, Carried Out and Described under the Orders of H.M. Indian Government
http://dsr.nii.ac.jp[...]
Clarendon Press
[5]
문서
On Ancient Central-Asian Tracks: Brief Narrative of Three Expeditions in Innermost Asia and North-western China
Macmillan and Co
[6]
웹사이트
Silk Road Aims at Site in UNESCO World Heritage List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07-09-18
[7]
웹사이트
Protection Scheme for Relics on Silk Road Launched in Xinjiang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07-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